ALLPASSBIO

고객지원

[한약(생약) 정보] 산약, 山藥, Dioscoreae Rhizoma

2019.02.13 17:29:16 allpassbio

첨부파일 : 산약 공정서.pdf (82 kb)


산약은 대한민국약전에 수록된 한약재로, 이 약은 마 Dioscorea batatas Decaisne 또는 참마 Dioscorea japonica Thunberg (마과 Dioscoreaceae)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 (담근체)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이다.


성상, 확인시험, 순도시험 중 중금속 공통 4종, 순도시험 중 잔류농약(식품의 기준 및 규격 중 [별표3] 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마*’), 순도시험 중 이산화황, 건조감량, 회분이 QC 시험검사 항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性溫[一云平], 味甘, 無毒.
성질이 따뜻하고[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달며 독이 없다.


補虛勞羸瘦, 充五藏, 益氣力, 長肌肉, 强筋骨, 開達心孔, 安神長志.
허로로 야윈 것을 보하고 오장을 채우며, 기력을 더해 주고 살찌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심규를 열어서 정신을 안정시키며, 의지를 강하게 한다.


處處有之, 一名山芋, 一名玉延. 宋時避諱, 又號爲山藥. 二月八月採根, 刮之, 白色者爲上, 靑黑者不堪.
곳곳에 있다. 산우(山芋) 또는 옥연(玉延)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때 임금의 이름을 피하여 산약(山藥)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껍질을 깎는데, 흰 것이 제일 좋고 검푸른 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此物貴生乾, 方入藥. 生濕則滑, 只消腫核, 不可入藥. 熟則只堪啖, 亦滯氣.
마는 생것을 말린 것이 좋으니, 이것을 약에 넣는다. 말리지 않은 생것은 진액이 있어 미끌미끌한데, 단지 종기만 없앨 뿐 약에 넣을 수는 없다. 익힌 것도 먹을 수는 있지만 기를 막히게 한다.


乾法, 取肥大者, 刮去黃皮, 以水浸, 末白礬少許摻水中, 經宿, 取洗去涎, 焙乾.『本草』
말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굵고 큰 것을 골라 누런 껍질을 깎아 물에 담그고 약간의 백반을 가루내어 그 속에 넣어 둔다. 다음날 꺼내어 침같이 끈적끈적한 것을 씻고 불에 쬐어 말린다.『본초』


山藥, 手太陰肺經藥也.『入門』
산약은 수태음폐경의 약이다.『입문』


경악전서에는
味微甘而淡, 性微澁.
맛은 약간 달면서 담박하고 성질은 약간 떫다.


所以能健脾補虛, 澁精固腎, 治諸虛百損, 療五勞七傷. 第其氣輕ㆍ性緩, 非堪專任, 故補脾肺, 必主蔘ㆍ朮; 補腎水, 必君茱ㆍ地, 澁帶濁, 須破故同硏; 固遺泄, 仗兎絲相濟. 諸凡固本丸藥, 亦宜搗末爲糊. 總之性味柔弱, 但可用爲佐使.
이런 까닭에 비(脾)를 튼튼하게 하여 허를 보해 주거나 정(精)을 깔깔하게 하여 신(腎)을 견고하게 하며, 온갖 허손과 오로칠상(五勞七傷)을 치료한다. 다만 기가 가볍고 성질이 완만하여 전적으로 효과를 감당할 수 없으므로 비와 폐를 보하려면 반드시 인삼과 백출을 주약(主藥)으로 해야 하고, 신수(腎水)를 보하려면 오수유와 지황을 군약(君藥)으로 삼아야 하며, 소변이 탁한 것을 멎게 하려면 반드시 파고지와 함께 갈아 써야 하고, 유설(遺泄)을 막으려면 토사자에 의지하여 서로 돕게 해야 한다. 무릇 근본을 견고히 해 주는 환약으로 만들려면 찧고 가루 내어 풀처럼 만들어야 한다. 종합해 보면, 성질과 맛이 유약하므로 좌약(佐藥)이나 사약(使藥)으로만 쓸 수 있다.


임상학적 연구로는,
VitaminC 활성, 항산화효과, 항염증, 신경세포 활성, 면역세포 활성, 항암효과 등에 대한 자료들이 있습니다.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한의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