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통은 대한민국약전에 수록된 한약재로, 으름덩굴 Akebia quinata Decaisne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성상, 확인시험, 순도시험 중 중금속 공통 4종, 순도시험 중 잔류농약 공통 5종, 순도시험 중 이산화황, 회분이 QC 시험검사 항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경악전서에는
亦名‘通草’. 味苦, 氣寒, 沈也, 降也.
통초(通草)라고도 한다. 맛은 쓰고 기는 차며 가라앉고 내려간다.
能利九竅, 通關節, 消浮腫. 淸火退熱, 除煩渴ㆍ黃疸, 治耳聾ㆍ目痛, 天行時疾, 頭痛ㆍ鼻塞ㆍ目眩. 瀉小腸火鬱, 利膀胱熱淋, 導痰濕嘔噦, 消癰腫壅滯, 熱毒惡瘡, 排膿止痛. 通婦人血熱經閉, 下乳汁, 消乳癰ㆍ血塊, 催生ㆍ下胎. 若治小水急數疼痛, 小腹虛滿, 宜加葱煎飮; 若治喉痺咽痛, 宜濃煎含嚥.
구규(九竅)를 통리시킬 수 있어서 관절을 부드럽게 하거나 부기를 뺄 수 있다. 화(火)를 식히고 열을 물리치므로 번갈과 황달을 치료하고, 이롱(耳聾)과 목통(目痛), 유행병과 계절병, 두통, 코막힘, 눈이 어지러운 것 등을 치료한다. 소장(小腸)에 울결된 화를 쓸어내리고, 방광의 열림(熱淋)을 통리시키며, 구역질을 일으키는 담과 습을 끌어내리고, 옹체되어 생긴 옹종(癰腫)과 열독으로 인한 악창(惡瘡)을 삭이고, 고름을 밀어내어 통증을 멎게 한다. 혈열로 나오지 않는 부인의 월경을 통하게 하고, 젖을 나오게 하며, 유옹(乳癰)과 혈괴(血塊)를 삭이고, 출산을 촉진시키고 태(胎)를 나오게 한다. 소변이 매우 잦고 볼 때 아픈 증상, 아랫배가 허하고 그득한 증상에는 파와 함께 물에 달여 마셔야 하고, 후비(喉痺)로 목구멍이 아픈 증상에는 진하게 달여 입에 물고 있어야 한다.
임상학적 연구로는,
항비만, 항염증, 알코올 분해 등에 대한 자료들이 있습니다.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한의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