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은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록된 한약재로, 이 약은 생강 Zingiber officinale Roscoe (생강과 Zingiberaceae)의 신선한 뿌리줄기이다.
성상, 확인시험, 순도시험 중 이물, 순도시험 중 중금속 공통 4종, 순도시험 중 잔류농약(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중 [별표4] 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의 ‘생강’), 순도시험 중 이산화황, 회분이 QC 시험검사 항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性微溫, 味辛, 無毒.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歸五藏, 去痰下氣, 止嘔吐, 除風寒濕氣. 療咳逆上氣喘嗽.
오장에 들어가고 담을 삭이며, 기를 내리고 구토를 멎게 하며, 풍한습기를 제거한다. 딸꾹질, 상기, 천수(喘嗽)를 치료한다.
性溫而皮寒, 須熱卽去皮, 要冷卽留皮.『本草』
성질이 따뜻하다고 하지만 껍질은 차기 때문에 열(熱)만 필요하다면 껍질을 버리고, 냉(冷)한 성질도 필요하다면 껍질째 쓴다.『본초』
能制半夏, 南星, 厚朴之毒. 止嘔吐反胃之聖藥也.『湯液』
반하, 남성, 후박의 독을 조절한다. 구토와 반위를 멎게 하는 성약(聖藥)이다.『탕액』
古云, 不徹薑食. 言可常啖. 但勿過多爾, 夜間勿食. 又云, 八九月多食薑, 至春, 患眼損壽, 減筋力.『本草』
옛말에, “생강 먹기를 그만두지 않았다”고 하니, 늘 먹을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과식하거나 밤중에는 먹지 말아야 한다. 또, 8~9월에 생강을 많이 먹으면 이듬해 봄에 눈병을 앓고 수명이 짧아지며 근력이 약화된다고 한다.『본초』
我國惟全州多産焉.『俗方』
우리나라에서는 전주에서만 다량으로 생산된다.『속방』
임상학적 연구로는,
대사증후군 개선, 항당뇨 효과, 항염증 작용 등에 대한 자료들이 있습니다.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한의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