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활은 대한민국약전에 수록된 한약재로, 강활 Ostericum koreanum Maximowicz의 뿌리 또는 중국강활 (中國羌活) Notopterygium incisum Ting 또는 관엽강활 (寬葉羌活) Notopterygium forbesii Boissier(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줄기 및 뿌리이다.
성상, 확인, 순도시험 중 이물, 순도시험 중 중금속 공통 4종, 순도시험 중 잔류농약 공통 5종, 개별 잔류농약으로 앤도설판, 옥솔린산, 순도시험 중 이산화황, 건조감량, 회분, 산불용성회분, 엑스함량이 QC 시험검사 항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性微溫, 味苦辛, 無毒.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쓰고 매우며 독이 없다.
主治, 與獨活大同小異.『本草』
주로 치료하는 것은 독활과 대동소이하다.『본초』
羌活, 乃手足太陽ㆍ足厥陰少陰, 表裏引經之藥也. 撥亂反正之主, 大無不通, 小無不入. 故一身百節痛, 非此不能治.『入門』
강활은 수태양경ㆍ족태양경ㆍ족궐음경ㆍ족소음경의 표리인경약이다. 난리를 평정하여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주체가 되어 크게는 통하게 하지 않는 것이 없고 작게는 들어가지 않는 곳이 없다. 그래서 전신의 관절이 아픈 것은 이것이 아니면 치료할 수 없다.『입문』
羌活氣雄, 故入足太陽, 獨活氣細, 故入足少陰. 俱是治風, 而有表裏之殊.『湯液』
강활은 향이 강하여 족태양경에 들어가고, 독활은 향이 약하여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이 약들은 모두 풍을 치료하는데, 다만 표리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탕액』
我國, 惟江原道, 獨活羌活俱産焉.『俗方』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에서만 독활과 강활이 난다.『속방』
경악전서에는
用此者, 用其散寒定痛, 能入諸經, 太陽爲最. 散肌表之寒邪, 利周身項脊之疼痛, 排太陽之癰疽, 除新舊之風濕. 緣非柔懦之物, 故能撥亂反正, 惟其氣雄, 大能散逐, 若正氣虛者, 忌用之.
이것을 쓸 때는 한을 흩어 내고 통증을 진정시키는 점을 이용하는데, 여러 가지 경락에 들어갈 수 있으나 태양경에 가장 좋다. 기표(肌表)의 한사를 흩어 내고, 온몸과 목과 척추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태양경의 옹저를 밀어내고, 새로 생겼거나 오래된 풍습을 제거한다. 성질이 유연한 약재가 아니기 때문에 난을 일으켜 반정(反正)을 할 수 있으니, 기가 웅대하여 잘 흩어 내고 몰아내므로 정기가 허한 경우에는 쓰지 말아야 한다.
味微苦, 氣辛微溫, 升也, 陽也.
맛은 약간 쓰고 기는 맵고 약간 따뜻하여 올라가니, 양이다.
임상학적 연구로는,
골보호, 관절염치료, 진통, 항당뇨, 항지질,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항암 등에 대한 자료들이 있습니다.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한의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