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PASSBIO

고객지원

[한약(생약) 정보] 당귀, 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2019.02.08 16:33:25 allpassbio

첨부파일 : 당귀 공정서.pdf (126 kb)


당귀는 대한민국약전에 수록된 한약재로, 이 약은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이 약을 건조한 것은 정량할 때 노다케닌 (C20H24O9 : 408.40) 및 총데쿠르신 [데쿠르신(C19H20O5 : 328.36) 및 데쿠르시놀안겔레이트 (C19H20O5 : 328.36)]의 합 6.0 % 이상을 함유한다.


성상, 확인시험, 순도시험 중 이물, 순도시험 중 중금속 공통 4종, 순도시험 중 잔류농약 공통 5종, 개별농약으로 메톡시클로르, 아조싸이클로틴, 아족시스트로빈, 엔도설판, 터부코나졸, 펜디메탈린, 펜프로파스린, 세톡시딤, 플루아지포프부틸, 순도시험 중 이산화황, 회분, 정량법이 QC 시험검사 항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性溫, 味甘辛, 無毒.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고 매우며 독이 없다.


治一切風ㆍ一切血ㆍ一切勞, 破惡血, 養新血. 及主癥癖, 婦人崩漏絶子. 療諸惡瘡瘍金瘡, 客血內塞, 止痢疾腹痛. 治溫瘧, 補五藏, 生肌肉.

모든 풍병ㆍ혈병ㆍ허로를 치료하고, 어혈을 풀며, 새로운 피를 생기게 한다. 징벽과 부인의 붕루ㆍ불임에 주로 쓴다. 여러 가지 악창과 쇠붙이에 상하여 어혈이 속에 뭉친 것을 치료하고, 이질복통을 멎게 한다. 온학을 치료하고 오장을 보하며 새살을 돋게 한다.


生山野, 或種蒔. 二月八月採根, 陰乾. 以肉厚而不枯者, 爲勝. 又云, 肥潤不枯燥者, 爲佳. 又云, 如馬尾者, 好.

산과 들에 자라는데, 심기도 한다.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살이 많고 마르지 않은 것이 좋다. 또, 살지고 윤기가 있으며 마르지 않은 것이 좋은 것이라고도 한다. 또, 말꼬리와 같이 생긴 것이 좋은 것이라고도 한다.


要破血, 卽使頭一節硬實處, 要止痛止血, 卽用尾.『本草』

어혈을 깨뜨리려고 할 때는 머리 쪽의 단단한 마디를 쓰고, 지혈시키거나 진통시킬 때에는 잔뿌리를 쓴다.『본초』


用頭則破血, 用尾則止血. 若全用則一破一止, 卽和血也. 入手少陰, 以心主血也. 入足太陰, 以脾裹血也. 入足厥陰, 以肝藏血也.『湯液』

머리 부분을 쓰면 어혈을 풀고, 잔뿌리를 쓰면 피를 멎게 한다. 전체를 다 쓰면 한편으론 어혈을 풀고, 한편으론 피를 멎게 한다. 이것이 바로 화혈(和血)하는 것이다. 심은 혈을 주관하니[心主血] 수소음에 들어가고, 비는 혈을 감싸니[脾裹血] 족태음에 들어가며, 간은 혈을 간직하니[肝藏血] 족궐음에 들어간다.『탕액』


氣血昏亂者, 服之卽定, 各有所當歸之功. 治上酒浸, 治外酒洗, 血病酒蒸, 痰用薑汁炒.『入門』

기혈이 문란되었을 때, 먹으면 안정된다. 돌아가야 할 곳으로 돌아가게 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상부의 병을 낫게 하려면 술에 담가 쓰고, 외부의 병을 낫게 하려면 술에 씻어 쓴다. 혈병에는 술에 쪄서 쓰고, 담병에는 생강즙에 축여 볶아 쓴다.『입문』


得酒浸過, 良.『東垣』

술에 담갔다가 쓰는 것이 좋다.『동원』


경악전서에는
味甘辛, 氣溫, 氣輕味重, 可升可降, 陰中有陽.
맛은 달고 매우며 기는 따뜻하다 기가 가볍고 맛이 무거워 올라가기도 내려가기도 하니, 음 가운데서도 양을 지니고 있다.


其味甘而重, 故專能補血; 其氣輕而辛, 故又能行血, 補中有動, 行中有補, 誠血中之氣藥, 亦血中之聖藥也. 頭, 止血ㆍ上行; 身, 養血ㆍ中守; 尾, 破血ㆍ下流; 全, 活血不走. 大約, 佐之以補則補, 故能養營養血, 補氣生精, 安五臟, 强形體, 益神志, 凡有形虛損之病, 無所不宜; 佐之以攻則通, 故能祛痛通便, 利筋骨, 治拘攣ㆍ癱瘓ㆍ燥澁等症. 營虛而表不解者, 佐以柴ㆍ葛ㆍ麻ㆍ桂等劑, 大能散表; 衛熱而表不斂者, 佐以六黃之類, 又能固表.
맛이 달면서 무거우므로 혈을 전적으로 보할 수 있고, 기가 가벼우면서 매우므로 또한 혈을 운행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보하는 가운데 움직이게 하고 운행하게 하는 가운데 보하기도 하니, 참으로 혈중의 기약이요 또한 혈중의 성약이다. 당귀의 노두는 출혈을 멎게 하니 약성이 상부로 가고, 당귀신(當歸身)은 혈을 자양하니 체간에 머물며, 당귀미(當歸尾)는 어혈을 깨뜨리니 하부로 흘러가며, 당귀 전체는 혈을 잘 흐르게 하여 내달리지 않게 한다. 대략적으로 좌약(佐藥)으로 삼아 보하는 데 쓰면 보해 준다. 그러므로 영(營)과 혈을 자양하거나, 기를 보하고 정(精)을 생성하거나, 오장을 편안하게 하거나, 몸을 강하게 하거나, 정신과 마음을 보익하니, 몸이 허손된 병에 알맞지 않은 경우가 없다. 좌약으로 삼아 공격하는 데 쓰면 소통시킨다. 그러므로 통증을 없애고 대변을 잘 나오게 하거나, 근골을 부드럽게 하여 당기고 오그라드는 증상, 탄탄(癱瘓), 살이 마르고 잘 움직여지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영(營)이 허하여 표(表)가 풀어지지 않을 때는 시호ㆍ건갈ㆍ마황ㆍ육계 등의 약재를 좌약으로 삼아 쓰면 표의 사기를 잘 흩어 내고, 위(衛)에 열이 있어 표가 수렴되지 않을 때는 {육황(六黃):황기(黃芪),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황금(黃芩), 황련(黃連), 황백(黃柏)}을 좌약으로 삼아 쓰면 또한 표를 굳건하게 한다.


惟其氣辛而動, 故欲其靜者, 當避之; 性滑善行, 大便不固者, 當避之. 凡陰中火盛者, 當歸能動血, 亦非所宜; 陰中陽虛者, 當歸能養血, 乃不可少. 若血滯而爲痢者, 正所當用. 其要在‘動’ㆍ‘滑’兩字. 若婦人經期血滯, 臨産催生, 及産後兒枕作痛, 俱當以此爲君, 小兒痘疹ㆍ驚癎, 凡屬營虛者, 必不可少.
기가 매우면서 움직이게 하므로 안정시키려면 쓰지 말아야 하고, 성질이 매끄럽고 잘 운행시키므로 대변이 굳지 않은 경우 쓰지 말아야 한다. 음 속에 화가 치성하다면 당귀는 혈을 잘 움직이게 하니 쓰지 말아야 하고, 음 속에 양이 허하면 당귀는 혈을 자양할 수 있으므로 적게 쓰면 안 된다. 혈이 막혀 이질이 된 경우에는 곧바로 써야 한다. 중요한 점은 ‘움직이고[動]’ ‘매끄럽다[滑]’는 두 글자에 있다. 부인이 월경을 할 때 혈이 막히거나, 출산을 촉진시키거나, 출산 후 아침통(兒枕痛)에는 모두 당귀를 군약(君藥)으로 삼아야 하고, 어린아이의 두진과 경간은 영허(營虛)에 속하니, 반드시 적게 써서는 안 된다.


임상학적 연구로는,
항산암, 면역 등에 대한 자료들이 있습니다.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한의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