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PASSBIO

고객지원

[한약(생약) 정보] 황기, 黃芪, Astragali Radix

2019.04.02 14:51:47 allpassbio

첨부파일 : 황기 공정서.pdf (88 kb)


황기는 대한민국약전에 수록된 한약재로,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또는 몽골황기 (蒙古黃芪)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siao (콩과 Leguminos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성상, 확인시험, 순도시험 중 중금속 공통 4종, 순도시험 중 잔류농약 공통 5종, 개별농약으로 나프로파마이드, 아세타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엔도설판, 이미다크로프리드, 트리프루미졸, 티아메톡삼, 페나리몰, 피메트로진, 순도시험 중 이산화황, 순도시험 중 Hedysarum속 식물 및 그 밖의 뿌리, 건조감량, 회분, 산불용성회분이 QC 시험검사 항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性微溫, 味甘, 無毒.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主虛損羸瘦. 益氣長肉, 止寒熱. 療腎衰耳聾, 治癰疽久敗瘡, 排膿止痛. 又治小兒百病, 婦人崩漏, 帶下諸疾.
허손으로 야윈 데 주로 쓴다. 기를 보하고 살찌우며 한열을 멎게 한다. 신(腎)이 쇠약해져 귀가 먹은 것과 옹저, 창(瘡)이 오래된 것을 치료하고, 고름을 빼내며, 통증을 멎게 한다. 또, 소아의 온갖 병과 부인의 붕루ㆍ대하 등 여러 질병을 치료한다.


生原野, 處處有之. 二月十月採根, 陰乾.『本草』
들판에서 자라는데 곳곳에 있다. 2월과 10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 말린다.『본초』


治氣虛盜汗自汗, 卽皮表之藥. 又治咯血, 柔脾胃, 是爲中州之藥. 又治傷寒尺脈不至, 補腎藏元氣, 爲裏藥. 是上中下內外三焦之藥也.
기가 허해 생긴 도한ㆍ자한을 치료하니 피부로 가는 약이다. 또, 각혈을 치료하고 비위를 부드럽게 하니 중초의 약이 된다. 또, 상한에 척맥이 짚이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신장의 원기를 보하니 속[裏]의 약이 된다. 그러므로 황기는 상중하ㆍ내외ㆍ삼초에 모두 쓰는 약이다.


入手少陽經ㆍ足太陰經ㆍ足少陰命門之劑.『湯液』
수소양경ㆍ족태음경ㆍ족소음명문에 들어가는 약이다.『탕액』


肥白人多汗者, 服之有功. 蒼黑人氣實者, 不可服.『正傳』
희고 살지며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이 복용하면 효과가 있지만, 검으면서 기가 실한 사람은 복용하면 안 된다.『정전』


綿軟箭幹者佳. 瘡瘍生用, 肺虛蜜水炒, 下虛鹽水炒用.『入門』
부드러우면서 화살대같이 생긴 것이 좋다. 창양에는 생것을 쓰고, 폐허에는 꿀물에 축여 볶으며, 하초가 허한 데는 소금물에 축여 볶는다.『입문』


경악전서에는
味甘氣平, 氣味俱輕, 升多降少, 陽中微陰.
맛은 달고 기는 평하며, 기미가 모두 가벼워 올라가는 것이 많고 내려가는 것이 적으니 양 가운데서도 음을 띠고 있다.


生者微凉, 可治癰疽; 蜜炙性溫, 能補虛損. 因其味輕, 故專於氣分而達表, 所以能補元陽, 充腠理, 治勞傷, 長肌肉. 氣虛而難汗者, 可發; 表疏而多汗者, 可止. 其所以止血崩ㆍ血淋者, 以氣固而血自止也, 故曰: ‘血脫益氣’; 其所以除瀉痢ㆍ帶濁者, 以氣固而陷自除也, 故曰: ‘陷者擧之’. 然其性味俱浮, 純於氣分, 故中滿氣滯者, 當酌用之.
생것은 약간 서늘하여 옹저(癰疽)를 치료할 수 있고, 꿀에 축여 구운 것은 성질이 따뜻하여 허손을 보할 수 있다. 맛이 약하기 때문에 기분(氣分)에서만 작용하여 표(表)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원양(元陽)을 보할 수 있거나, 주리(腠理)를 메우거나, 기육을 성장시킬 수 있다. 기가 허하면서 땀을 내기 어려운 증상에는 발한시킬 수 있고, 표가 성기어 땀이 많은 증상에는 그치게 할 수 있다. 혈붕(血崩)이나 혈림(血淋)을 그치게 하는 것은 기가 굳건해져서 혈이 저절로 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혈이 고갈되었을 때 기를 보충한다.”라고 말한다. 설사와 이질, 대하를 제거하는 것은 기가 굳건해져서 빠지는 것이 저절로 제거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빠진 것을 들어 올린다.”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성질과 맛이 모두 위로 뜨고 기분에서만 작용하므로 속이 그득하여 기가 막힌 증상에는 참작해서 써야 한다.


임상학적 연구로는,
항비만, 항산화, 항염증, 신경보호, 세포증식억제, 항종양 등에 대한 자료들이 있습니다.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한의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