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PASSBIO

고객지원

[한약(생약) 정보] 승마, 升麻, Cimicifugae Rhizoma

2019.04.03 14:47:24 allpassbio

첨부파일 : 승마 공정서.pdf (68 kb)


승마는 대한민국약전에 수록된 한약재로, 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촛대승마 Cimicifuga simplex Wormskjord, 눈빛승마 Cimicifuga dahurica Maximowicz 또는 황새승마 Cimicifuga foetida Linné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뿌리줄기이다.


성상, 순도시험 중 중금속 공통 4종, 순도시험 중 잔류농약 공통 5종, 순도시험 중 이산화황, 순도시험 중 노루오줌속 식물, 회분, 산불용성회분, 엑스함량이 QC 시험검사 항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性平[一云微寒], 味甘苦, 無毒.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고도 한다] 맛은 달고 쓰며 독이 없다.


主解百毒, 殺百精老物, 辟瘟疫瘴氣. 療蠱毒, 治風腫諸毒, 喉痛口瘡.『本草』
주로 온갖 독을 풀고 온갖 요괴를 없애며 온역과 장기(瘴氣)를 물리친다. 고독(蠱毒), 풍으로 붓는 것, 독오른 것, 목구멍이 아픈 것, 입안이 헌 것을 치료한다.『본초』


生山野中, 其葉如麻, 故名爲升麻. 二月八月採根, 暴乾, 刮去黑皮幷腐爛者用. 細削如雞骨, 色靑綠者佳. 本治手足陽明風邪, 兼治手足太陰肌肉間熱.『入門』
산과 들에 자란다. 그 잎이 삼의 잎과 닮아서 승마(升麻)라고 한다.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 후에 검은 껍질과 썩은 부분을 긁어 버리고 쓴다. 뿌리 속이 닭뼈같이 가늘게 갈라져 있고, 청록색인 것이 좋다. 본래는 수양명과 족양명의 풍사를 치료한다. 겸하여 수태음과 족태음의 기육에서 열이 나는 것도 치료한다.『입문』


陽明本經藥也. 亦主手陽明太陰經. 若元氣不足者用此, 於陰中升陽氣上行, 不可缺也.『丹心』
양명 본경의 약인데 수양명과 수태음에도 작용한다. 원기가 부족한 경우에 이것을 쓰면 음 속에서 양기를 위로 끌어올리니 없으면 안 되는 약이다.『단심』


陽氣下陷者宜用. 若發散生用, 補中酒炒, 止汗蜜炒.『入門』
양기가 아래로 처진 경우에는 승마를 반드시 써야 한다. 발산시키려면 생것을 쓰고, 중기를 보하려면 술에 축여 볶으며, 땀을 멎게 하려면 꿀에 축여 볶는다.『입문』


경악전서에는
味微苦, 氣平, 氣味俱輕, 浮而升, 陽也.
맛은 약간 쓰고 기는 평하며, 기와 맛 모두 가벼워 뜨면서 올라가니 양이다.


用此者, 用其升散提氣, 乃脾ㆍ胃ㆍ肺與大腸, 四經之藥, 善散陽明經風寒, 肌表邪熱; 提元氣之下陷, 擧大腸之脫泄; 除陽明溫疫表邪, 解膚腠風熱斑疹. 引石膏, 除齒牙臭爛腫痛; 引葱頭, 去陽明表證頭疼; 佐當歸ㆍ肉蓯蓉, 可通大便結燥. 凡癰疽ㆍ痘疹, 陽虛不能起發, 及瀉痢ㆍ崩淋, 夢遺ㆍ脫肛, 陽虛下陷之類, 用佐補劑, 皆所宜也.
이것을 쓸 때는 올라가 흩어 내는 것과 기를 붙잡는 점을 이용하는데, 비ㆍ위ㆍ폐ㆍ대장(大腸) 네 경락에 쓰는 약으로, 양명경의 풍한으로 인한 기표(肌表)의 사열(邪熱)을 잘 흩어 내고, 아래로 떨어지는 원기를 붙잡아 대장에서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 주며, 양명온역(陽明溫疫)으로 인한 표의 사기를 제거하여 피부와 주리(腠理)의 풍열과 반진(斑疹)을 풀어 준다. 석고를 인경약으로 삼으면 이에서 냄새나고 짓무르며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총두(葱頭)를 인경약으로 삼으면 양명표증(陽明表證)의 두통을 제거하고, 당귀와 육종용을 좌약(佐藥)으로 삼으면 대변이 막히고 마른 것을 나오게 할 수 있다.


若上實氣壅, 諸火炎上, 及太陽表證, 皆不宜用. 且其味苦氣散, 若血氣太虛, 及水火無根者, 幷不可用.
상부가 실하여 기가 막혔거나 여러 가지 화가 타오르거나 태양표증(太陽表證)이 있는 경우에는 모두 쓰지 못한다. 또한 그 맛이 쓰고 기가 흩어지므로 혈기가 매우 허하거나 수화(水火)에 근원이 없는 경우에는 모두 쓸 수 없다.


임상학적 연구로는,
간보호, 항위염, 항골다공증, 항산화, 항바이러스, 면역조절, 항암 등에 대한 자료들이 있습니다.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한의학연구원